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전라남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편집]


항목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전라남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결과[편집]




2.1. 목포시[편집]


목포시
목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영철(崔永喆)14,568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3.98%낙선
2배종덕(裵鍾德)5935위

ta-hash-start=w-9a96a2c73c0d477ff2a6da3bf538f4f4[[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0.56%낙선
3권노갑(權魯甲)87,7351위

ta-hash-start=w-92cdc3666b7883ebeed2973e70725bb1[[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84.20%당선
4안철(安哲)6844위

무소속

0.65%낙선
5차남륜(車南輪)8183위

무소속

0.59%낙선
선거인 수128,261투표율
81.91%
투표수105,063
무효표수865


동교동계의 핵심 인사인 평민당 권노갑 후보가 압승했다. 민정당 최영철 후보도 국회부의장까지 역임한 거물이었으나, 평민당 황색 돌풍에는 속수무책이었다. 이후 노태우 정부에서 3개 장관직을 역임하나, 선거에 다시 출마하지는 않았다.


2.2. 여수시[편집]


여수시
여수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선규(金宣圭)12,915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6.73%낙선
2김인수(金仁洙)8943위

ta-hash-start=w-f4058a5d761d71d61086fcad052b5240[[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15%낙선
3김충조(金忠兆)62,3601위

ta-hash-start=w-a2d7c0bd5eae4b61cf5392628464fb2c[[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82.15%당선
선거인 수99,706투표율
78.03%
투표 수77,799
무효표 수630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김충조 13대.jpg


평민당 김충조 후보가 당선되었다. 지난 두 번의 총선에서는 각각 무소속, 군소 정당인 근로농민당 후보로 출마하는 바람에 낙선했지만, 이번에는 평민당 공천을 받아 손쉽게 당선되었다.


2.3. 순천시[편집]


순천시
순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상철(尹相哲)7,980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3.30%낙선
2박강근(朴康根)9875위

ta-hash-start=w-fa0b77ceb5f375388fba9a76d7d6d953[[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64%낙선
3허경만(許京萬)46,6291위

ta-hash-start=w-38b70bc4e5dd6c315c3acbe51c86820c[[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77.73%당선
4김천석(金千石)4,1103위

ta-hash-start=w-7eac767e6a90f955ae20d75d0ed02123[[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6.85%낙선
5이기우(李基宇)2764위

ta-hash-start=w-679691c7154b72407c79d298c06873db[[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0.46%낙선
선거인 수75,095투표율
80.47%
투표 수60,430
무효표 수448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허경만 13대.jpg


현역 의원인 평민당 허경만 후보가 무난히 압승했다.


2.4. 나주시·나주군[편집]


나주시·나주군
나주시, 나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갑수(韓甲洙)15,092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69%낙선
2이재근(李載根)57,4511위

ta-hash-start=w-15d496c747570c7e50bdcd422bee5576[[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74.97%당선
3김장곤(金莊坤)4,0833위

무소속

5.32%낙선
선거인 수96,940투표율
80.61%
투표 수78,145
무효표 수1,519

현역 의원인 평민당 이재근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재근 의원은 선거 직후 평민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어 정치적 위상이 한 단계 올라갔으나, 13대 국회임기 막판에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된다.


2.5. 여천시·여천군[편집]


여천시·여천군
여천시, 여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하택(黃夏澤)13,878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0.86%낙선
2신장호(申璋浩)2,9183위

ta-hash-start=w-e96b278b7691f3949a55cdc362fe5044[[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38%낙선
3신순범(愼順範)49,7231위

ta-hash-start=w-741827c5530ba062a192fc83b86bbec8[[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74.75%당선
선거인 수86,823투표율
77.96%
투표 수67,527
무효표 수1,008

현역 의원인 평민당 신순범 후보가 압도적인 표 차이로 3선 도전에 성공했다.


2.6. 담양군·장성군[편집]


담양군·장성군
담양군, 장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용훈(朴用勳)15,8342위
19.93%낙선
2김영석(金永石)1,1725위
1.47%낙선
3김길곤(金吉坤)54,4301위
68.51%당선
4김재식(金在植)2,7954위
3.51%낙선
5김사석(金四錫)3666위
0.46%낙선
6백상규(白祥圭)4,8423위
6.09%낙선
선거인 수98,725투표율
82.7%
투표 수80,402
무효표 수963

사업가인 평민당 김길곤 후보가 평민당 황색 돌풍을 타고 무난히 당선되었다.


2.7. 곡성군·화순군[편집]


곡성군·화순군
곡성군, 화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용상(具龍相)16,1742위
21.38%낙선
2홍기훈(洪起薰)56,5821위
74.80%당선
3기대웅(奇大雄)1,7393위
2.29%낙선
4양동희(梁東希)1,1404위
1.50%낙선
선거인 수93,311투표율
82.32%
투표 수76,809
무효표 수1,174

홍남순 인권변호사의 아들인 평민당 홍기훈 후보가 당선되었다. 홍기훈 당선자는 13대 국회 최연소 지역구 의원이라는 영광도 누리게 되었다.

한편, 구용상 의원의 비서관을 맡았던 이정현 전 새누리당 대표가, 구 의원의 낙선으로 갈데가 없어지자 이때부터 여당의 당료 생활을 하게된다.


2.8. 구례군·승주군[편집]


구례군·승주군
구례군, 승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경현(柳瓊賢)16,3062위
23.49%낙선
2조순승(趙淳昇)53,1031위
76.50%당선
선거인 수90,130투표율
81.98%
투표 수73,886
무효표 수1,477

정치학과 교수인 평민당 조순승 후보가 당선되었다.


2.9. 광양군[편집]


광양군
광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종호(金宗鎬)18,1042위
34.96%낙선
2김현옥(金現玉)1,2594위
2.43%낙선
3이돈만(李敦萬)29,2231위
56.44%당선
4김형주(金亨柱)2,5313위
4.88%낙선
5이익노(李益魯)6575위
1.26%낙선
선거인 수64,759투표율
80.70%
투표 수52,258
무효표 수484

광양제철소의 영향으로 비호남 유권자가 그나마 많고, 민정당에서도 전직 건설부장관인 김종호 후보를 내세우는등 나름 공천에 신경을 썼지만, 이곳도 평민당 황색 돌풍을 피해가지는 못했다. 미국에서 민주화 운동을 한 평민당 이돈만 후보가 당선되었다.


2.10. 고흥군[편집]


고흥군
고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대순(李大淳)23,7682위
29.89%낙선
2박상천(朴相千)54,5131위
68.56%당선
3최성희(崔盛喜)8823위
1.10%낙선
4송점진(宋占珍)3384위
0.42%낙선
선거인 수99,907투표율
80.45%
투표 수80,373
무효표 수872

검사 출신인 평민당 박상천 후보가 당선되었다.


2.11. 보성군[편집]


보성군
보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용식(李容植)17,5232위
33.96%낙선
2류준상(柳晙相)34,0711위
66.03%당선
선거인 수66,062투표율
79.36%
투표 수52,426
무효표 수832

현역 의원인 평민당 류준상 후보가 당선되었다.


2.12. 장흥군[편집]


장흥군
장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성준(朴成準)11,1092위
26.52%낙선
2강신만(姜信萬)7113위
1.69%낙선
3이영권(李永權)30,0601위
71.77%당선
선거인 수51,770투표율
81.98%
투표 수42,443
무효표 수563

현역 의원인 평민당 이영권 후보가 당선되었다.


2.13. 강진군·완도군[편집]


강진군·완도군
강진군, 완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식(金湜)22,3053위
25.74%낙선
2김석영(金錫英)1,3524위
1.56%낙선
3김영진(金泳鎭)35,0651위
40.46%당선
4이선동(李先東)27,9252위
32.22%낙선
선거인 수109,028투표율
80.37%
투표 수87,628
무효표 수981

민정당은 현역 김식 의원을 공천했다. 평민당은 농민운동가 출신인 평민당 김영진 후보를 공천했다. 평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이선동 후보도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김식, 김영진 후보가 강진군 출신인 반면, 이선동 후보는 유일한 완도군 출신 유력 후보였기에 소지역주의의 도움을 받으면 당선을 기대해볼 수 있었다.

치열한 3파전이었지만 그래도 평민당 바람을 타고 김영진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선동 후보는 완도군에서는 1위를 했지만 강진군의 저조한 득표율때문에 2위에 그쳤다. 민정당 김식 후보는 3위로 내려앉았다.


2.14. 해남군·진도군[편집]


해남군·진도군
해남군, 진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시채(丁時采)25,3022위
24.19%낙선
2김봉호(金琫鎬)65,9371위
63.05%당선
3성관실(成瓘實)6365위
0.60%낙선
4양동주(梁東柱)4866위
0.46%낙선
5박영상(朴榮相)2,8844위
2.75%낙선
6임영득(任煐得)9,3193위
8.91%낙선
선거인 수128,684투표율
82.36%
투표 수105,990
무효표 수1,426

현역 의원인 평민당 김봉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정당의 경우, 공천 과정에서도 내분이 있어서 결국 탈락한 임영득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그러나 정시채, 임영득 두 후보의 표를 합쳐도 김봉호 후보가 얻은 표에 미치지 못했다.


2.15. 영암군[편집]


영암군
영암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환의(李桓儀)13,5172위
30.51%낙선
2유인학(柳寅鶴)30,3891위
68.59%당선
3황규정(黃奎停)3933위
0.88%낙선
선거인 수53,568투표율
84.00%
투표 수44,999
무효표 수700

한양대 교수인 평민당 유인학 후보가 당선되었다.


2.16. 무안군[편집]


무안군
무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노인옥(魯仁鈺)10,9452위
23.13%낙선
2박석무(朴錫武)34,2201위
72.34%당선
3윤무중(尹武重)7834위
1.65%낙선
4이재옥(李載玉)1,3553위
2.86%낙선
선거인 수58,814투표율
81.32%
투표 수47,826
무효표 수523

해직교사이자 다산 정약용 연구의 권위자인 평민당 박석무 후보가 당선되었다.


2.17. 함평군·영광군[편집]


함평군·영광군
함평군, 영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기상(曺淇相)19,8262위
23.09%낙선
2서경원(徐敬元)64,2201위
74.79%당선
3최주경(崔柱鏡)1,8183위
2.11%낙선
선거인 수111,644투표율
78.5%
투표 수87,445
무효표 수1,581

농민운동가인 평민당 서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하지만 서경원 의원은 당선 후 같은 해 8월에 북한을 몰래 방문하고, 1년 뒤인 1989년에 밀입북한 것이 알려지면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다. 이후 1990년 8월 24일에 대법원에서 형이 확정되어 의원직을 상실했다.


2.18. 신안군[편집]


신안군
신안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복수(金福洙)9,8272위
22.33%낙선
2 한화갑(韓和甲)-등록무효
-
3박형오(朴亨午)34,1621위
77.66%당선
선거인 수62,257투표율
75.94%
투표 수47,277
무효표 수3,288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김복수13.jpg
파일:한화갑 13대.jpg
파일:박형오13.jpg


신안군에서 전국 유일한 한겨레민주당 소속 의원이 당선되었는데, 이 지역 출신 유력 정치인 한화갑이 피선거권을 회복하지 못해 후보 등록무효 처리되자 평화민주당측에서 親DJ 성향인 박형오를 대타로 출마시켜 당선된 것이다.

박형오 당선자는 당선 직후 한겨레민주당을 탈당해 평민당 소속이 된다.